안녕하세요 적는중입니다.
한 학기 동안 볼링 수업을 들었는데 코로나 때문에 정작 볼링장에서 볼링을 친적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아쉬운 대로 이론에 대해 잔뜩 공부하게 되었으니 그에 대한 공유 겸 글을 적어보려 합니다.
* 용어 정리
첫 투구에 10개 쓰러뜨림스트라이크
두 번째 투구에 모두 쓰러뜨림: 스페어
두 번동 안 모두 쓰러뜨리지 못함: 오픈
볼링 점수 계산
스트라이크 10~30점까지 가능.
스페어는 10~20점까지 가능.
오픈의 경우 두 번의 투구에서 쓰러뜨린 핀의 점수를 그냥 더하면 됩니다.
스페어의 경우엔 다음 프레임의 첫 번째 투구에서 쓰러뜨린 핀의 개수만큼 보너스 점수 획득합니다.
그림을 보면 이해가 쉬울 겁니다.
스트라이크의 경우 스트라이크 이후 첫 번째, 두 번째 투구에서 쓰러뜨린 핀의 개수의 합만큼 보너스 점수 획득합니다.
10 프레임만 적용되는 예외사항
마지막 프레임인 10 프레임에서는 특별한 사항이 있습니다.
먼저 최대 3번까지 투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첫 번째에 스트라이크를 친 경우에 제공합니다
두 번째에 스트라이크를 친 경우에 제공합니다.
10 프레임에는 보너스 점수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쓰러뜨린 핀의 개수대로 바로 득점이 됩니다.
연습문제
설명이 충분할지 모르겠습니다. 이해가 잘 되셨나요?
그럼 간단한 퀴즈를 통해서 다시 한번 확인해 보도록 합시다.
퀴즈 1
정답
퀴즈 2
정답
퀴즈 3
1. 한 프레임에서 얻을 수 있는 최대 점수는?
2. 전체를 전부 스트라이크를 친다면 총점수는?
3. 전부 스트라이크를 쳤다면 던진 횟수는?
정답
1. 30점 (스트라이크를 친 이후 2번의 기회에서 모두 스트라이크를 치면 됩니다.)
2. 300점 (한 프레임에 30점 * 10 프레임으로 300점입니다.)
3. 12번 (1~9 프레임은 1번씩이지만 마지막 10 프레임은 3번입니다.)
기계가 대신 계산을 해주기 때문에 볼링 점수 계산 방법에 대해 잘 몰랐을 겁니다.
저도 수업을 통해 알게 되었어요.
점수 계산하는 법을 알게 된다면 좀 더 전략적으로 게임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많이 넘어뜨리는 게 장땡이긴 합니다만ㅎㅎㅎ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금은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적는중이었습니다.
'Fitness > 움직이는것도 운동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링 구질의 종류 - 스트라이크, 숏훅, 롱훅,백업 (0) | 2021.01.13 |
---|---|
볼링 기본자세/그립의 종류와 스텝 (0) | 2020.09.20 |
볼링의 경기 규칙과 용어 (0) | 2020.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