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축공학27

이상기체를 현실에 적용하는 방법 [건축공학/Building Environment] -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이상기체? 한번쯤은 들어봤을 이상기체. 이게 뭘까 이상(理想), 이름만큼이나 이상적인 기체이다. 기체의 물성을 설명하는데 이보다 간편하고 완벽한게 없다. 이름 그대로 이상이니 현실과는 다writing-mylife.tistory.com이름만 들어도 현실과는 다를 것 같은데 이걸 어떻게 적용할까?현실버전 이상기체이상기체라길래 이론으로만 존재하는, 상상속의 기체라고 생각하기 쉽다.뭐 틀린말은 아니지만 실제로 이상기체로 생각하고 적용해도 문제가 없는 경우가 많다.'어디부터 어디까지의 범위는 이상기체로 생각합니다~' 라는 구간이 있는 것이다.수증기를 온도와 비체적간의 관계에서 압력이 같은 지점을 보라색선으로 그린것이다... 2021. 6. 12.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 이상기체?한번쯤은 들어봤을 이상기체. 이게 뭘까이상(理想), 이름만큼이나 이상적인 기체이다.기체의 물성을 설명하는데 이보다 간편하고 완벽한게 없다.이름 그대로 이상이니 현실과는 다를것이다. 이상기체의 특성은 어떤게 있을까?1. 기체 분자 사이의 인력이 없다. (위치에너지 없고 운동에너지만 있음)2. 기체 분자 자체는 질량이 있으나 부피가 없다.3. 기체 분자의 충돌은 완전탄성충돌이다.4. 온도,압력에 의해 상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5.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완벽히 만족한다.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은 보일과 샤를의 법칙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상태방정식이다.그렇다면 보일과 샤를의 법칙이 뭘까?보일&샤를의 법칙P: 압력, V: 부피, T: 온도 이고, C:constant 일정하다는 뜻이다.보일의 법칙은 온도를 일정.. 2021. 6. 11.
건축기사 실기 시공파트 - 콘크리트 정리 4 - 골재 Ⅱ ---골재 용어 정리--- ◆조립률(FM) : 골재의 체가름시험을 통해 골재의 입도 및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를 구하기 위한 치ㅜㅅ ◆공극률(%) : (비중X0.999 - 단위체적질량) / (비중X0.999) X100% ◆실적률(%) = 100% - 공극률 ◆절대건조상태 : 골재를 100~110℃ 온도에서 질량변화가 없어질 때까지 건조한 상태 ◆기본건조상태 : 골재를 공기중에 건조하여 내부는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상태 ◆습윤상태 : 골재 내부는 이미 포화상태이고, 표면에도 물이 묻어있는 상태 ◆흡수량 : 표면건조 내부포수상태의 골재에 포함된 수량 ◆함수량 : 습윤상태 골재에 포함된 수량 ◆표면수량 : 습윤상태의 골재표면의 수량 ★ 이거 무조건 외워야 함 ★ A : 절대건조상태 질량(g) , B : 표면건.. 2021. 5. 30.
건축기사 실기 시공파트 - 콘크리트 정리 3 - 콘크리트 시공 ◆콘크리트 표준 배합 설계순서 1. 설계강도 (소요강도) 결정 2. 배합강도 결정 3. 시멘트 강도 결정 4. 물시멘트비 결정 5. 슬럼프 값 결정 6. 굵은 골재 최대치수 결정 7. 잔골재율 결정 8. 단위수량 결정 9. 시방배합 산출 및 조정 10. 현장배합 결정 ◆물시멘트비 (W/C 비) 물의 질량/시멘트 중량 x 100% ◆W/C 비 클 때 문제점 1. 강도저하 2. 부착력 저하 3. 재료분리 증가 4. 내구성, 내마모성, 수밀성 저하 5. 건조수축, 균열발생 증가 팁: 콘크리트에 물이 많으면 안좋아!! 최소한의 시공연도와 수화작용에 필요한 물만 있는게 좋아!! ◆강도추정을 위한 비파괴 시험법 1. 슈미트 해머법 2. 공진법 3. 음속법 4. 복합법 ◆슈미트 해머 강도 보정법 1. 타격방향 2. .. 2021. 5. 29.
건축기사 실기 시공파트 - 콘크리트 정리 2 -골재 Ⅰ ◆ 골재 요구 품질 1. 표면이 거칠고 둥근 골재 선택 2. 견고한 것 (시멘트 강도 이상일 것) 3. 내마모성 있을 것 (마모 저항성) 4. 실적률 클 것 (55% 이상) 5. 입도가 좋을 것 6. 청정하고 불순물이 없을 것 ◆혼합물이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 1. 유기불순물: 강도, 내구성 저하, 시공연도 저하 2. 염화물 혼입: 철근 부식, 균열 발생 3. 점토덩어리: 강도 저하, 수밀성 저하, 부착력 저하 4. 당분함유: 응결지연 ◆굵은골재 최대 치수 일반적: 25 or 20mm 단면이 큰 경우: 40mm 무근 콘크리트: 40mm ◆골재 염분 함유량 잔골재 절대건조상태 중량 기준 염소이온 (Cl-) 0.02%이하 콘크리트에 함유된 염화물 총량 기준 염소이온 (Cl-) 0.3~0.6 kg/m^3 ◆철.. 2021. 5. 28.
건축기사 실기 시공파트 - 콘크리트 정리 1 -시멘트 ◆ 포틀랜드 시멘트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특징: 비중 3.05이상 2종: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특징: 발열량↓, 장기강도↑, 매스, 차폐용 콘크리트에 사용 3종: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특징: 수화발열량↑, 긴급공사,한랭,수중공사에 사용 4종: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 *특징: 발열량↓ 5종: 내황산염 포틀랜드 시멘트 ◆혼합시멘트 1. 고로시멘트 - 비중 낮음(2.9), 중성화 빨라서 W/C비 줄여줌 해수,하수,지하수,광천 등에 대한 저항성 큼, 건조수축 작음. 2. 플라이애쉬 시멘트 - 시공연도 개선, 수밀성 향상, 수화열 작음, 조기강도 작음 3. 실라카(포졸란) 시멘트 - 실리카 시멘트에 혼합된 천연 및 인공인 것을 총칭하여 포졸란이라 함. 천연산: 화산회, 규산백토, 규조토, 응회암 인공.. 2021. 5.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