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근 공작도 (★☆☆☆☆)
정의: 구조도면을 근거로 절단 및 구부리기 등의 공작을 하기 위하여 철근 모양, 작부치수, 구부림 위치, 지름, 길이 및 수량 등을 정확히 기입한 상세도면
키워드: 구조도면을 근거~ 공작을 하기 위하여~ 기입한 상세도면
포함되는 것: 기초배근 상세도, 기둥 및 벽체 배근 상세도, 보 배근 상세도, 바닥판 배근도, 계단 배근도, 라멘도
◆ 철근공사 공정순서 (★☆☆☆☆)
1. 공작도 작성 2. 재료반입 3. 저장 4. 재료검사 및 시험 5. 가공 6. 조립 7. 조립부 배근 검사
◆ 이음위치 선정 주의점 (★★★☆☆)
- 큰 응력 받는 곳 피하여 이음
- 이음의 1/2 이상을 한 곳에 집중시키지 않고 엇갈려 이음
- 기둥, 벽 철근 이음은 층 높이의 2/3 하부에서 엇갈리게 이음
- 보에서는 중앙에서 하부근, 단부에서 상부근 이음 안함
키워드: 응력집중 피함, 엇갈리게 이음
(철근을 이은 부분은 재료적 강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는데 힘이 몰리는 곳에 이으면 안되겠지? 그걸 생각하고 답을 적으면 됨.)
◆ 철근 정착 위치 (★★☆☆☆)
- 기둥주근 : 기초 or 바닥판
- 보 주근: 기둥 or 큰보
- 보 밑 기둥 없을 때: 보 상호간
- 지중보 주근: 기초 or 기둥
- 벽철근: 기둥, 보 , 바닥판
- 바닥철근: 보 or 벽체
팁: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시공순서를 생각해서 직접 철근을 배근한다고 상상해보면 그림이 그려짐. 상상해봐!
◆ 철근 이음법 종류 (★★★★★)
- 겹침이음, 가스압접 이음(용접이음), 기계적 이음
팁: 두개의 철근을 이으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생각해봐. 두개 겹쳐서 반생이질 하는 방법(겹침이음), 철이니까 용접하는 방법(용접이음), 서로 연결하는 기계 끼우는 방법(기계적이음)
◆ 가스압접 이음 장,단점 (★★★★☆)
장점
- 충분한 강도 보장
- 철근 조립부가 단순해져서 콘크리트 타설 용이
- 겹침이음 없어서 경제적
단점
- 숙련공 필요
- 용접부 검사 어려움
- 기상악화시 작업중단
팁: 가스압접 이음이라서 생기는 장단점이 아니라 그냥 용접의 장단점이라고 생각
◆ 가스압접 검사 (★★★★★)
- 외관검사, 초음파 검사, 인장시험
팁: 눈으로도 보고 초음파도쏘고 필요한 강도만큼 나오는지 늘려도 보고!
◆ 가스압접 금지사항 (★★★★☆)
- 0℃ 이하 작업중지
- 철근의 재료가 다를 경우
- 항복점 또는 강도가 다를 경우
- 철근 지름 차이가 6mm 초과일 경우
- 편심오차 방지 : 지름의 1/5 초과일 경우
◆ 피복두께 목적 (★★★★★)
- 소요 내화성 확보, 소요 내구성 확보, 소요 강도 확보
팁: 목적이 뭔지 묻는 문제의 대부분의 답은 소요 내구성, 강도 확보임. 정 모르면 이거라도 쓰셈
◆ 철근 간격 유지 목적 (★★★★★)
- 소요 강도 확보, 재료분리 방지, 콘크리트 유동성 확보
◆ 스페이서 종류 (★☆☆☆☆)
- 철재, 모르타르, 강화 플라스틱
◆ 철근 간격 결정 (★★★☆☆)
- 2.5cm
- 1.5 x 주근직경
- 4/3 x 굵은골재 직경
이 셋중 최대값 사용
팁: 이게 시험문제로 나온거면 그 시험에서 핵어려운 문제일 테니 모르겠다면 맘편히 틀려라
'건축공학 > 건축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기사 실기 시공파트 - 콘크리트 정리 3 - 콘크리트 시공 (0) | 2021.05.29 |
---|---|
건축기사 실기 시공파트 - 콘크리트 정리 2 -골재 Ⅰ (0) | 2021.05.28 |
건축기사 실기 시공파트 - 콘크리트 정리 1 -시멘트 (0) | 2021.05.27 |
건축기사 실기 시공파트 - 거푸집 정리 2 (0) | 2021.05.23 |
건축기사 실기 시공파트 - 거푸집 정리 1 (0) | 2021.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