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권선구 당수동에 주택공급 5000호 '제로에너지 특화도시' 조성

반응형

안녕하세요 적는중입니다.

2021년 1월 4일 국토교통부에서 보도자료가 나왔습니다.

수원 당수 2 지구에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제로에너지 특화도시' 조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포스팅에 제로에너지 빌딩에 대해 다룬 적이 있었습니다.

제로에너지 빌딩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건축공학/Building Energy] - 생각지 못한 지구온난화의 주범과 제로에너지 빌딩

 

생각지 못한 지구온난화의 주범과 제로에너지 빌딩

안녕하세요 적는중입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의 변화가 몸으로 느껴질 만큼 환경문제의 심각성이 커져버린 오늘입니다. '4계절이 뚜렷한 나라 대한민국'이라는 말은 점점 옛말이 되어가고

writing-mylife.tistory.com

탄소저감을 위해 정부에서는 제로에너지 건물 의무화를 계획했고 진행 중입니다. 

이번 제로에너지 특화사업은 25년부터 적용될 민간건축물 제로에너지 의무화에 맞춘 사업입니다.


제로에너지 특화도시

제로에너지 특화도시란 제로에너지 건축물을 도시 단위로 확대 적용하는 것입니다. 한 개의 제로에너지 건물을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아주 많은데 도시 단위로 적용하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건축공학/Building Energy] - 제로에너지 빌딩을 위한 필수적인 12가지 단계(with Ted Clifton)

 

제로에너지 빌딩을 위한 필수적인 12가지 단계(with Ted Clifton)

안녕하세요 적는중입니다. 지난 글에서 건축물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가 상당히 많다는 것을 말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로에너지 빌딩을 소개했구요. 생각지 못한 지구온난화의 주범

writing-mylife.tistory.com

기존의 제로에너지 특화도시

이번에 실시할 수원 당수 2 지구가 첫 번째 제로에너지 특화도시는 아닙니다. 지난해 6월부터 도시 전체 자립률 20% 이상을 목표로 구리갈매역세권 및 성남 복정 1 지구에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시범사업 지구의 기본계획(안)은 건축물의 용도별로 약 15~45% 수준의 에너지자립률을 달성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건축물 부문에서만 약 18%의 에너지 자립율 달성이 목표입니다. 이 지역에서 전체 평균 20% 이상 에너지 자립율 달성을 위해 부족한 나머지 부분에 대해선 공원·자전거도로 등 공용 부지에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추가 설치할 방침이라고 국토교통부에서 설명했습니다.

수원 당수 2 지구

사업이 추진될 수원 당수 2 지구는 수원시 권선구 당수동 일원(면적 684천㎡)입니다. 고속도로 및 철도와 근접해서 교통여건이 우수하고 칠보산, 당수천 등 지역여건과 인접한 우수한 입지 여건을 가지고 있으며, 2025년까지 주택 5,000호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목표와 계획

올해부터 추진될 수원 당수 2 지구의 목표는에너지 자립률 50% 이상, 탄소저감(CO2) 50%이상 저감입니다.

이를 이루기 위해 주요 기술을 도시 부문과 건축부문으로 나누어 적용합니다.

도시 부문에서는 도시 패시브(자전거도로, 바람길 등) 요소와 도시 에너지 관리시스템, 주택 난방, 급탕 에너지 절감형 시스템 등이 있고, 건축부문에는 태양광, 연료전지, 소수력, 수열, 지열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를 도입이 있습니다.


제로에너지 의무화 계획에 맞춰 점점 친환경 에너지와 패시브 건축이 각광받을 거라 예상합니다. 추후에 기회가 되면 연료전지와 같은 친환경에너지에 대해서도 다뤄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금은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적는중이었습니다.

 

반응형
TAGS.

Comments